티스토리 뷰
연봉 실수령액은 세전 연봉에서 4대 보험과 세금이 공제된 금액을 말합니다. 세전 연봉보다는 세후 연봉이 중요합니다. 연봉에서 공제되는 항목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 6가지이며 2023년에는 4대 보험 요율도 올라간다고 합니다.
목차
2023년 4대보험 요율
2023년 4대 보험 요율
- 국민연금 4.50%
- 건강보험 3.545%
- 장기요양(건강보험) 12.81%
- 고용보험 0.9%
* 국민연금 최대 부담금은 248,850원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6,700만 원 이상일 경우 국민연금 부담금은 최대 부담금인 248,850원 고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 | 고용보험 | 소득세 | 지방세 |
4.50% | 3.545%(▲0.05%) | 12.81%(▲0.54%) | 0.9% | 간이세액 | 10% (소득세 기준) |
✔ 연봉실수령액은 부양가족 1인(본인 포함) 기준
✔ 2023년 4대 보험 요율 적용
✔ 국민연금 근로자 최대 부담금은 248,850원으로 6,700만 원부터는 동일하게 적용
✔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이기 때문에 최소연봉은 2,500만 원부터 시작
(최저임금 기준 연봉은 24,126,960원)
✔ 기업별 연봉 지급 조건 및 개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2023 2024 서울 분양 기대주 TOP 10 - 아파트 분양일정1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는 2023년도의 근로소득 간이세액 표 / 4대 보험요율 / 최저임금 등을 고려한 것입니다. 근로자가 재직 중인 회사의 계산법이나 수당, 비과세 급여 등에 따라 실수령액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3년 연봉실수령액 | |||
연봉 | 월급(세전) | 실수령액 | 공제합계 |
30,000,000 | 2,500,000 | 2,219,230 | 280,771 |
35,000,000 | 2,916,667 | 2,558,166 | 358,501 |
40,000,000 | 3,333,333 | 2,887,815 | 445,518 |
45,000,000 | 3,750,000 | 3,208,818 | 541,182 |
50,000,000 | 4,166,667 | 3,519,516 | 647,151 |
55,000,000 | 4,583,333 | 3,831,841 | 751,492 |
60,000,000 | 5,000,000 | 4,144,528 | 855,472 |
65,000,000 | 5,416,667 | 4,460,353 | 956,314 |
70,000,000 | 5,833,333 | 4,764,918 | 1,068,415 |
75,000,000 | 6,250,000 | 5,029,082 | 1,220,918 |
80,000,000 | 6,666,667 | 5,320,561 | 1,346,106 |
85,000,000 | 7,083,333 | 5,612,029 | 1,471,304 |
90,000,000 | 7,500,000 | 5,903,507 | 1,596,493 |
95,000,000 | 7,916,667 | 6,199,970 | 1,716,697 |
100,000,000 | 8,333,333 | 6,491,438 | 1,841,895 |
150,000,000 | 12,500,000 | 8,987,880 | 3,512,120 |
200,000,000 | 16,666,666 | 11,292,110 | 5,374,560 |
250,000,000 | 20,833,333 | 13,547,810 | 7,285,530 |
300,000,000 | 25,000,000 | 15,803,500 | 9,196,500 |
연봉 실수령액은 3억 원까지 정리해 드렸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최소 연봉은 2,500만 원부터 시작합니다.
▶마이너스통장 하루, 한 달 이자 계산(대출이자계산기 엑셀파일)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지금까지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았습니다. 최소 연봉 2,500만 원을 받는다면 세전 월급 208만 3,333원이며 세후 월급은 186만 3,219만 원을 받게 됩니다. 연봉계산기를 통해 공제금액을 입력하고 직접 계산하실 수도 있습니다.
신입, 이직 연봉협상 팁 체크리스트, 연봉협상 시기
2022년 중소기업 임직원 연봉 인상률 평균은 5.6%입니다. 중소기업 10곳 중 6곳(61.8%, 잡코리아 기준)이 올해 임직원 연봉 인상 규모를 확정했다고 합니다. 목차 1. 신입 연봉협상 팁 2. 이직 연봉협상
sowat0.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 대상포진 사진 및 초기증상, 치료, 병원은 어디로? (0) | 2022.12.27 |
---|---|
대상포진 예방 접종 가격 및 무료 대상 나이 (0) | 2022.12.26 |
일본 입국 백신접종증명서 영문 발급방법(2차 접종, 미접종자) (0) | 2022.12.26 |
유방 초음파 검사비용 건강보험, 실비보험 적용 (0) | 2022.12.23 |
스케일링 보험 적용 기간, 비용, 나이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