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l4mv/btsrIfwv5C1/DoKlK47xDum7SfanvGC8sK/img.png)
2023년 추석 기차표 예매일이 공개되었습니다. 열차표 예매일정 확인하시고 아래에서 바로 예매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추석 기차표 사전 예매 >> 2023 추석 기차표 일정 2023년 추석 기차표 사전예매기간은 8월 29일부터 8월 31일 3일 동안 진행합니다. 비대면 방식인 인터넷과 전화 등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탑승일자는 9월 27일부터 10월 3일까지이며 KTX, I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srt는 KTX보다 약 1주일 후에 예매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8월 29일에는 경로, 장애인 등 정보화 취약 계층만 가능하며 30일과 31일에는 누구나 예매 가능합니다. 2023 추석 기차표 예매방법 8월 29일에는 경로 및 장애인이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전화나 PC, 모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GoIg/btsrv61J1QI/NcTyhpZGz1Bvev5vl2btuK/img.png)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면 한 달에 약 6만 원, 1년에 최대 80만 원 정도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교통비가 인상함에 따라 많은 분들이 신청하고 있습니다. 하루라도 빨리 신청하시어 할인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 신청하기 >> 알뜰교통카드 발급 신청하기 카드사 또는 티머니페이, 모바일캐시비 등 신청 후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가입하고 발급받은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카드 수령 후 가입 및 카드 등록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시에는 최근 1개월 이내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과 휴대폰 인증이 필요합니다. 현재 우리, 하나, 롯데, 티머니, DGB, KB국민, NH농협, 비씨, 삼성, 현대카드 등 11개사가 알뜰교통카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카드사마다 혜택이나 한도, 이용실적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9otS/btsq7bBR2e3/q7gKOWwswSnz9vUPw8UVU1/img.png)
장애인 통합복지카드를 발급받으면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복지카드 종류에 따라 하이패스,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기능 등 다르기 때문에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장애인 교통비 지원금 받기 장애인 복지카드 종류 장애인 복지카드는 신분증형 장애인등록증과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이 있습니다. 본인의 선택에 따라 금융기능(체크 또는 신용카드)을 부가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장애인복지카드 장애인등록증 + 신용카드 or 직불카드 기능 장애인통합복지카드(A형) 장애인등록증 + 장애인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기능 장애인통합복지카드(B형) 장애인등록증+신용카드 or 직불카드 기능 + 장애인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기능 금융기능이 있는 장애인등록증은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이며 금융기능이 없는 장애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uqtd/btsqYOmIhGX/2cHNE2s3T1stdTYmmENocK/img.png)
서울시는 만 6세 이상 장애인들에게 교통비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버스요금 월 최대 5만 원 지원해 준다고 하니 하루빨리 신청하셔서 교통비 절약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교통비 신청하기 >> 서울시 장애인 교통비 지원내용 장애인 1인당 버스요금 월 최대 5만 원 지원 중증장애인(옛날의 1급, 2급, 3급)은 동반 보호자 1인 포함 최대 10만 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즉, 혼자 사는 장애인은 월 최대 5만 원, 가족과 함께 사는 장애인은 최대 10만 원(본인 5만 원 + 보호자 1명 5만 원)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원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6세 이상 장애인이며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등본 상 주소지가 서울시인 장애인입니다. (장애가 심한 경우 동반 보호자 1명 무료승차 지원) 서울시 장애인 교통비 신..